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컴퓨터를 사용한 곳과 시기는 지난 1967년, 국내에 들어와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사용된 FACOM222(일본의 후지스제작)기종입니다

생활정보................./생 활 정 보

by 디자이너-이충길 2015. 5. 29. 20:16

본문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컴퓨터를 사용한 곳과 시기는 지난 1967년, 국내에 들어와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사용된 FACOM222(일본의 후지스제작)기종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컴퓨터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937: 최초의 전자 디지털 컴퓨터, ABC (John Atanasoff, Clifford Berry)

1943: 최초의 대규모 전자 디지털 컴퓨터, ENIAC (John Mauchly, Presper Eckert, Jr.)

1945: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주요 개념 정립 (John von Neumann)

1951: 최초의 상업용 전자 디지털 컴퓨터, UNIVAC I (Presper Eckert, Jr.)

1952: 컴퓨터 대규모 생산 시작, IBM model 650

1957: FORTRAN 프로그램 도입

1965: BASIC 프로그램 개발 (John Kemeny)

1967: 한국에 컴퓨터 최초 도입 (1967년 4월 경제기획원 조사 통계국)- IBM 1401

1967년 5월 생산성본부에 도입된 FACOM222(일본의 후지스제작)기종은 비공식적으로 최초

1970년대 초반: 컴퓨터에서 최초로 한글 입출력

1974: 최초의 상업용 퍼스널 컴퓨터 (Altair computer)

1976: 퍼스널 컴퓨터 보급(국내에서 최초로 생산된 국산 컴퓨터-ORICOM-540기종), Apple (Steve Wozniak, Steve Jobs)

1980: IBM PC (IBM/MS-DOS개발, Bill Gates)

1981: 한국 최초의 퍼스널 컴퓨터 개발 (SE 8001, 삼보엔지니어링, 가격 : 1,000만원)

본격적인 대량생산 컴퓨터로 1981년 1월 개발, 그해 11월에 캐나다로 수출되어 국내최초로 수출된 컴퓨터

1981: Apple용 한글 입출력 처리 프로그램 개발 (CALL 3327, 8 bit용, 류백현)

1982: 퍼스널 컴퓨터 대규모 판매 (Intel chip 8086/8, 300만대 이상)

삼보엔지니어링이 1982년 개발한 두 번째 PC '트라이젬20'이었다.

가격은 42만9000원으로 여전히 비쌌지만 1982~1983년 6000대가 팔렸고, 이 가운데 개인이 구입한 수가 1000대였습니다.

트라이젬20의 성공은 금성사(현 LG전자), 삼성전자, 대우전자 등 대기업의 PC시장 진출을 불러왔습니다.

1983: 정보산업의 해, 컴퓨터 5000대 전국 학교 배포

1984: PC AT (80286), Apple Macintosh

1987: PC 80386

1987: KSC 5601완성형코드 (행망코드) 발표

1989: PC 486 (120만개 트랜지스터를 집약한 규모의 인텔 칩 사용)

1989: 한글 출시 (이찬진외), 한글도깨비 출시 (최철용), KETEL, PC-Serve 시작

1990: Windows 3.0

1993: Pentium PC (310만개 트랜지스터)

1995: Windows 95 (10 million instructions), Pentium Pro PC (550만개 트랜지스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