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절 하는 방법(여자)

생활정보................./생 활 정 보

by 디자이너-이충길 2016. 2. 10. 13:24

본문

절은 상대편에게 예의를 갖추는 우리나라의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대상과 상황에 따라 크게 ‘큰절’, ‘평절’, ‘반절’로 나눌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었지만, 종류와 성별에 따라 동작과 순서가 다르므로 올바른 방법을 확실하게 익혀두는 것이 좋다.

여성의 절은 각각 숙배(肅拜), 평배(平拜), 반배(半拜) 라고도 한다. 큰절에 해당하는 숙배는 원래 무장한 군인이 하는 군례였으나, 여자의 큰절로 전해지고 있다. 평절에 해당하는 평배는 중국의 큰절에 해당하는데, 우리나라의 큰절보다 고개를 덜 숙이는 형태이므로 평절로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반절은 평절을 약식으로 하는 것으로 두 손을 바닥에 짚는 동작이다.

세 가지 종류의 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큰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큰절의 시기와 대상

큰절이란 절을 했을 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어른에게 올리는 절이다. 주로 관혼상제(冠婚喪祭) 같은 의식 행사를 할 때나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추어 인사를 드려야 하는 상황에 큰절을 한다. 예를 들어 웃어른을 오랜만에 뵙거나 문안 인사를 올릴 때, 생신 때 등이다. 큰절을 하는 대상은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 배우자의 직계존속을 포함) 또는 방계존속(백숙부모, 증조부모 등 부모와 항렬이 같거나 높은 가까운 친척)에게 한다.

올바른 공수(拱手)법

공수(拱手)란 왼손과 오른손을 마주잡아 공경의 뜻을 표시할 때의 손모양이다. 절을 할 때에는 공수를 기본으로 한다. 여성의 경우 평상 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올리고, 흉사 시에는 왼손을 위로 올려 공수한다.

절하는 방법(여자)

평상 시 여성 공수법: 오른손을 위로 포갠다 / 흉사 시 여성 공수법: 왼손을 위로 포갠다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제사’ 때 '흉사'시 공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사는 조상께 인사를 드리는 것이므로, 문상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제사’ 때는 평상시 공수법으로 절을 올리는 것이 옳다.

여자 큰절하는 방법

여자 큰절 하는 방법동영상

원출처

올바른 공수(拱手)를 확실하게 배웠다면, 다음 순서는 '절하기'이다. 여성의 절하는 법은 종류에 따라 상체를 숙이는 정도가 다르므로 유의해야 한다.

공수를 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절하는 방법(여자)

오른손을 왼손 위로 하여 공수한다.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로 들어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향한다
절 하는 방법(여자)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무릎을 꿇고, 엉덩이를 깊게 내려 앉는다
절 하는 방법(여자)
상체를 45도 굽혀 잠시 머물렀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절 하는 방법(여자)

몸을 굽힐 때에는 45도 정도 굽힌다.

오른쪽 무릎부터 짚고 일어나 두 발을 모아 서서 가볍게 묵례한다
절 하는 방법(여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