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옛 그림 속 여백을 걷다.

이충길민화

by 디자이너-이충길 2019. 6. 21. 11:53

본문

우리 그림들을 설명하면서 자신의 경험담도 함께 이야기 하는 책.

이 책에 보면 게는 평생 15~20회 탈피를 한다고 한다. 탈피하면서 80%가 죽는다고 한다.

그래도 탈피하면서 성장한다고 한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위험을 무릅쓰고 벗어나야 성장한다.

저자는 그림을 볼 때 두가지 시선이 고루 필요하다고 말한다.

육체의 눈과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보이는 것 너머에 있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을 때

마침내 그림보기가 즐거워진다고 말한다. 나만의 방식으로 보고 즐길 수 있어야 비로소 생명력을 지니게 된다고 말한다.

우리 그림 중 가장 인상적인 것 가운데 하나가 윤두서의 자화상이다.

고흐의 자화상보다 더 강렬한 느낌을 받는다.

이 사람의 인물뿐만 아니라 정신까지도 생생하게 그린 氣韻生動의 대표적인 그림이라 할 수 있겠다.

윤두서의 눈을 잊을 수 없다. 선비의 강렬한 의식세계가 보이고 함부로 세상을 살 수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그는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고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부다.

몰락한 남인 집안의 후예로서 치열한 자기 삶을 산 사람의 일생이 그림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공재 윤두서는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후기 3재로 불린다.

 

                           윤두서 <자화상>,17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담채, 38.5 cm x 20.5cm 한국 개인 소장

 

윤용의 협롱채춘은 단아한 시골 아낙의 뒷모습이 참 정감있게 나타난다.

 

                                 윤용, <협롱채춘>,종이에 수묵담채, 27.6cm x 21.2cm, 간송 미술관

 

윤두서의 채애도는 나물캐는 두 여인의 모습을 담았고 윤두서의 그림은 손자인 윤용에게 영향을 미쳤고 조선 후기

풍속화가 유행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윤두서, <채애도>, 비단에 수묵, 30.2cm x 25cm 한국 개인소장

 

연담 김명국의 달마도는 붓 몇번 휘둘러서 힘차게 그린 그림이다. 김명국은 술이 취한 상태에서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호가 '취옹'이다.

 

                                 김명국, <달마도>, 17세기 중반, 족자, 종이에 수묵, 83cm x 58.2cm,국립 중앙박물관

 

 

                    김명국, <달마절로도강도>, 17세기, 족자, 종이에 수묵, 97.6cm x 48.2cm 국립중앙박물관

 

고사에 의하면 양쯔강을 갈대잎을 타고 건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강세황의 자화상은 윤두서의 자화상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솔직하게 자신을 나타낸 모습이다.

옷과 모자가 격에 맞지 않게 입었다.야인 복장에 관모를 썼다. 시서화 일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표암 강세황, <자화상>, 비단에 채색, 88.7cm x 51cm 서울 개인 소장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모든 소재를 살아있는 듯 생생하게 묘사했다.

한번은 신사임당이 풀벌레 그림을 그려서 햇빛에 말리려고 마당에 내려놓았더니 닭이 쪼아먹으려했다고 한다.

그만큼 생동감 넘치는 그림을 그렸다는 이야기.

 

                         신사임당, 초충도 8폭중 2폭 <수박과 들쥐>, 16세기 전반, 병풍, 종이에 채색, 33.2cm x 28.5cm  국립중앙박물관 

 

 

                                           1폭 <가지와 방아개비>

                                            맨드라미와 쇠똥벌레

                                               산차조기와 사마귀

                                           양귀비와 도마뱀

                                           어숭이와 개구리 

                                            오이와 개구리

                                            원추리와 개구리

 

능호관 이인상의 검선도는 초연한 선비의 모습을 그렸다.

 

                                        이인상, <검선도>, 종이에 담채, 96.7cm x 61.8cm 국립중앙박물관

 

혜원 신윤복의 월하정인도는 밀회의 장면일까? 혹은 당시 시대분위기 때문일까? 

달빛 아래서 만나는 두 남녀의 긴장감과 숨소리가 들리는듯 하다.

 

 

                                      신윤복, <월하정인>, 종이에 수묵담채, 28.5cm x 35.2cm 간송미술관

 

 김득신의 파적도는 해학을 담고 있다. 병아리를 물고 달아나는 고양이를 좇으려다 남편이 마루에서 떨어지니

놀란 아내가 남편을  향해 뛰어나오는 모습이다.

 

                                 김득신, <파적도>, 종이에 수묵담채, 22.5cm x 27.1cm 간송미술관

 

김홍도의 자리짜기는 각자 자기일 하기에 바쁜 평범한 가족을 묘사하고 있다.

자리 짜는 아버지,물레잣는 어머니, 공부하는 아들의 모습을 편안하게 그리고 있다.

작품의 제목을 열거하면 〈기와이기〉· 〈주막〉· 〈빨래터〉· 〈자리 짜기〉· 〈벼타작〉· 〈점심〉· 〈대장간〉·

〈논갈이〉· 〈서당〉· 〈무동〉· 〈점괘〉· 〈고누놀이〉· 〈씨름〉· 〈서화감상〉· 〈길쌈〉·

〈담배 썰기〉· 〈편자 박기〉· 〈활쏘기〉· 〈우물가〉· 〈고기잡이〉· 〈장터길〉· 〈나루터〉· 〈신행〉·

〈노중상봉〉· 〈행상〉이다.

 

                        단원 김홍도 <자리짜기>, 단원풍속화첩 25면 중 한면, 종이에 수묵담채, 27 x 22.7cm  국립중앙박물관

 

단원 풍속도첩 25폭은 아래의 그림들이다.

 

                       뱃놀이

                      장터길

                     대장간

                     신행

                       노중상봉

                                 담배썰기

                       무동

                      씨름

 

                       주막

                     기와이기

                      점심 

                       우물가

                      활쏘기

                      자리짜기

                      점괘

                      빨래터

                      고누놀이

                     논갈이

                      서화감상

                     편자박기

                      길쌈 

                        고기잡이

                         서당

                        행상

 

                    벼타작

 

양팽손의 산수도는 중국 그림의 영향을 받았지만 친구 조광조를 위해 세상을  버린 사나이의 의지를 담고 있다.

 

                                                양팽손, <산수도>, 16세기 전반, 족자, 종이에 담채, 88.2 x 46.5cm 국립중앙박물관

 

 

 

                                              심사정, <파초와 잠자리>, 종이에 담채, 32.7 x 42.4 cm 서울 개인소장

 

 

                                   신윤복, <미인도> 비단에 담채, 113.9 x 45.6cm 간송미술관  

 

우리나라 최고의 미인도로 꼽히는 그림이다.

눈꼬리 근육이 수축되어 눈이 반달모양이 되는 미소를 '뒤센의 미소'라고 하는데 이것은 광대뼈와 눈꼬리 근처에

표정을 결정짓는 근육이 있는데 이를 발견한 사람이 뒤센이다.그래서 얼굴표정을 연구했던 에크만이 뒤센의 업적을 기려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조영석, <새참>, 종이에 수묵담채, 20 x24.5cm 서울 개인소장

 

 

                                   정조, <국화도>, 종이에 수묵, 84.5 x 51.4cm 동국대 박물관 (보물 744호)

 

 

                                          정조, <파초도>, 종이에 수묵, 84.6 x 51.4 cm 동국대 박물관(보물 제743호)

 

 

 

 

                                        신윤복, <무녀신무>, 종이에 수묵담채, 28.2 x 35.2cm 간송미술관

 

신윤복의 그림은 아래 블로그에서 볼 수 있다

http://blog.naver.com/hs9964/220222716844

 

 

정선의 그림들은 아래 카페에서 볼 수 있다.

http://cafe.daum.net/BulgaeDaenggyeon/of0C/196?q=%B0%E2%C0%E7%20%C1%A4%BC%B1%20%B9%E9%BE%C7%BB%EA&re=1

 

공자의  述而不作(술이부작) - 성인의 말을 전할 뿐 자기 말을 지어내지 않는다.

 

 

                                                석파 이하응(대원군), <묵란도> 병풍 중 일부

 

 

                                                           정약용, <매조도>, 비단에 담채, 44.9 x 18.5cm 고려대 박물관

 

 

추사 김정희, <세한도>, 두루마리, 종이에 수묵, 23.7 x 108.2cm 한국 개인소장

 

 

                                       김홍도, <마상청앵도>, 족자, 종이에 수묵담채, 117.4 x 52cm 간송미술관

 

 

                                                             이재관, <오수도>, 19세기, 종이에 수묵담채, 122.3 x 56.3cm 호암미술관

 

 

                                                      이한철 <최북 초상화>, 종이에 수묵, 66 x41cm, 한국 개인소장

 

 

                                              강희안, <고사관수도>, 15세기 중엽, 종이에 수묵, 23.4 x 15.7cm 국립중앙박물관

 

 

                                            남계우, <화접도>, 대련, 19세기, 종이에 채색, 127.9 x 28.8cm 국립중앙박물관

 

                                                                추사 김정희,<자화상>, 종이에 수묵담채, 32 x 23.5cm 선문대 박물관

 

 

                                                              이경윤, <조어도>, 10폭중 한 폭,  비단에 수묵, 31.1 x 24.8cm 고려대학교 박물관

 

 

이경윤, <탁족도>, 16세기 말, 화첩, 비단에 담채, 27.8 x 19.1cm 국립중앙박물관

 

 

 

이암,‘ 모견도’, 종이에 채색, 73.2×42.4㎝, 국립중 앙박물관 / 이암,‘ 화조구자도’, 종이 에 채색, 86.0×44.9㎝, 호암 미술관

 

 

                                    조속, <매작도>, 17세기 전반, 족자, 종이에 수묵, 100.4 x 55.5cm 간송미술관

 

조희룡 그림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blog.daum.net/ann0710/24

 

 

                                        조희룡, <매화서옥도>, 종이에 수묵담채, 106.1 x 45.1cm 간송미술관

'이충길민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충길민화-민화이야기(2)  (0) 2019.07.06
이충길민화-민화이야기(1)  (0) 2019.06.25
심사정 산수화  (0) 2019.06.21
정선과 심사정  (0) 2019.06.21
심사정-그림 속으로 들어간 화가  (0) 2019.06.21

관련글 더보기